내진구조공학

재료공학

 

 

Home > Research Areas    

 

| 내진구조공학


- 구조물의 내진 성능 및 지진 안전성 평가에 대한 연구

진보된 구조 실험과 정밀한 해석 체계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비선형 동적 거동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뢰도 높은 구조물의 내진 성능과 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한다.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실물크기 PSD 실험

PSD 실험을 위한 컨트롤 시스템

제철소 용광로 시설물 구조해석 모델링

제철소 전로공장 구조해석 모델링

 

- 확률적 취약성 분석을 기반으로 한 내진 보수 보강 전략에 대한 연구

지진하중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보수보강의 목표내진성능은 확률적 예측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단의 매개변수 취약성 분석 방법을 채택하여 지진해석과정에서 요구되는 과도한 시간과 공력을 절약하고 다양한 보수보강 방법의 비용, 효과, 신뢰도를 동시에 비교함으로써 가장 효율적인 보수보강전략(구조물의 성능 개선 목표치)을 제시한다.

콘크리트 건물의 확률적 취약성 곡선

매개변수 취약성 곡선 구축 프로그램

 

 

 

| 콘크리트 재료공학


-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관리를 위한 균열 보수 재료 연구

기존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에 널리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 충진 방식은 주재료의 물성상의 한계와 시공방식의 번거로움, 환경오염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방식의 단점을 극복한 뛰어난 성능의 신소재인 나노 실리케이트 무기 바인더를 개발하고 그 성능과 현장 적용성을 극대화 하기위한 무기 충진공법 개발한다. 연구 대상 기술의 개요는 아래와 같다.

* 실리케이트를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뛰어난 콘크리트 모체와의 일체성을 보유

* 주성분의 입자를 나노 크기로 제작하여 접착력과 수분에 대한 저항성을 높임

* 개발된 신소재의 성능과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무기 충진 공법 개발

 

SEM View of concrete (pore)

인하대학교 건축학부 구조 실험실

 

 
 

 

 

Last Updated on July 7, 2007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공학과 내진공학 연구실 - 정성훈 교수